리포머(Reformer)
필라테스의 창시자인 죠셉 필라테스가 만든 운동기구이며, 지지대인 캐리가 레일 위에서 움직이며 동작을 수행한다. 동작을 수행하는 수련자는 캐리 위에 눕거나 엎드리거나 혹은 앉음으로써 다양한 자세를 취한다. 이후 지지대에 연결된 스프링을 당기고 미는 동작을 행함으로써 전신을 골고루 단련한다. 그리고 스프링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수련자에게 쉽고, 어려움의 운동강도를 제공하고 운동의 범위 또한 확장한다. 스프링을 이용하고 흔들림을 제어함으로써 신체의 불균형이 심한 사람들에게 효과적이며 근육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사용법을 알려준다. 보통의 웨이트 트레이닝식의 운동기구에서는 한 가지 운동만 할 수 있는 것에 비해 죠셉 필라테스가 만든 리포머에서는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다. 운동의 강도를 설정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링의 개수 및 수련자의 거리를 조절하고 스프링 자체의 강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일반인, 운동선수, 재활이 필요한 환자 등 여러 사람에 맞춰 운동할 수 있는 복합운동기구이다. 리포머 운동은 인간이 해부학적으로 행하는 운동을 기본으로 전개되는데 그동안 살아오면서 잘못된 생활 습관, 운동 습관들이 우리의 근육과 관절을 잘못 사용하여 불균형이 오고 신체가 왜곡되게 만든다. 예를 들면, 발목의 잘못된 무게중심으로 인한 굴곡과 신전은 근육의 불균형을 일으키며 부상 및 부정렬을 일으킨다. 이때 리포머의 풋 바에 발을 정확하고 바르게 정렬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발목의 올바른 사용법을 아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체어(Chair)
주로 Wunda chair 또는 Stability Chair로 알려진 Pilates Chair는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기구이다. 앉는 것뿐만 아니라 운동을 하는 동안 앉아서 발로 페달을 밀 수도 있지만 바닥에 누운 자세에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도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팔굽혀펴기와 같은 전신운동도 가능하며 70개 이상의 다양하고 다채로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체어에도 리포머에서와 같이 스프링의 저항을 이용하여 운동이 진행된다. 보통의 모델에서 4개의 스프링을 이용해 다양한 저항감을 일으켜 난이도를 조절한다. 손이나 발로 페달을 누르는 동안에는 몸통에 상당한 안정감이 필요한데 우리의 상상을 뛰어넘을 정도로 힘들고 꾸준히 동작을 연습해야 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체어는 근육을 균형이 있게 만들고 몸 전체를 사용하여 운동을 진행해야 한다. 상체, 하체의 근육을 보다 강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균형은 물론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페달이 분리된 체어의 경우에는 한 쪽씩 왼쪽, 오른쪽 번갈아 가면서 할 수도 있고 동시에 양쪽을 누르면서 운동할 수 있기에 몸 전체의 균형을 잡는 데 효과적이다. 어려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스포츠인들은 좀 더 높은 강도의 운동을 할 수도 있다. 체어 운동을 함으로써 어깨, 엉덩이 등의 근육을 골고루 사용하고 인대나 근육이 좋지 않을 때도 재활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조셉 필라테스의 체어는 맨 처음 하나의 스프링 페달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발전하여 현대인에게 필요한 기구로 발전했다. 의자 지지대나 핸들 등 액세서리들이 추가로 변형되고 추가 되었으며,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변형도 기본적인 틀 안에서 원리나 구조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캐딜락(트라피즈테이블)
캐딜락의 경우 조셉 필라테스가 병원에서 누워 있어야 하는 환자들을 위해 고안해 낸 기구이다. 이를 통해 환자들의 유연성, 근력을 향상하게 시키고 재활 운동을 진행하였으며 점차 발전하게 되었다. 초기에는 침대 스프링을 사용하였으며 침대에 봉을 세워 그곳에 다양한 스프링을 부착하여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캐딜락은 푸시스로우바, 롤다운바와 같이 다양한 지지대를 이용하여 운동기능이 떨어진 사람들에게 활용되었으며 그들이 필요로 하는 해부학적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재활이 필요한 사람들은 보통 특정 부위의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기능이 떨어진 부위가 아닌 보상작용으로 다른 부위가 운동 될 수 있다. 캐딜락은 이를 방지해주며 인간이 수행할 수 있는 대부분의 해부학적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해부학적 운동은 인간의 골격구조에 의해 규정되는 운동이며 앞으로 굴곡, 뒤로 펴고, 회전, 옆으로 굴곡 하는 4가지 운동을 할 수 있다. 이 4가지 중에 한가지라도 잘되지 않는 경우 그 기능이 떨어진 것이고 그 부위의 근육이 약해지고 늘어남이 발생하여 이것이 심화할 때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재활한다는 것은 이러한 기능들을 되살리는 것이며 캐딜락뿐만 아니라 리포머, 체어 등 여러 가지 필라테스 기구들은 이러한 해부학적 운동기능을 향상하게 시킨다.
배럴(Barrel)
이 기구는 복부의 근력 향상, 안정화, 움직임, 유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extension, flexion, lateral flexion, rotation 동작을 다양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매직 써클(Magic Circle)
조셉 필라테스의 오리지널 써클과 현대의 링은 다소 차이가 있으며 링을 앞, 옆, 뒤로 잡고 다양한 자세에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팔이나 다리로 써클을 잡아서 내전이나 외전 등의 운동을 할 수 있다.
'필라테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라테스 매트운동시 요구되는 정렬 (0) | 2024.12.21 |
---|---|
필라테스로 알아보는 내 몸의 정렬 (0) | 2024.12.20 |
필라테스에서 말하는 파워하우스(powerhouse)와 골반에 대하여 (0) | 2024.12.19 |
골격에 대해 간단히 알고 필라테스 시작하기 (0) | 2024.12.18 |
필라테스의 효과 및 6가지 원리원칙 (0) | 202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