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라테스 매트운동의 동작
필라테스 매트 운동을 진행할 때는 주요 외부 저항으로 중력이 다루어진다. 동작 시 작용하는 근육들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다양한 단계에서 발생하는 관절의 동작과 동작의 중력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아야 한다. 필라테스 동작 시 중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될 경우에는 동작의 방향과 반대 작용을 하는 근육군들이 신장성으로 작용할 것이며, 동작 시 중력에 대항하는 경우 동작의 방향과 일치하는 작용을 하는 근육군들이 단축성으로 작용할 것이다. 동작을 분석할 때는 동작 분석이 신체 분절이나 신체 자세가 아니라 동작의 방향에 대해 기초하여야 한다. 예시로 엎드려 누워 등 신전(back extension prone) 동작을 할 경우 눈으로 검토해 보았을 때 척추 부분이 작용의 주요 부위이며 상향 단계에서는 척추의 신전이 일어난다. 이는 중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단계이다. 즉 동작의 방향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근육이 작용할 것이다. 척추 신근이 단축성으로 작용하여 척추 신전을 일으키며 하향 단계에서 눈으로 검토해 보았을 때 동작의 방향이 척추 굴곡임이 드러난다. 아치를 이룬 척추는 신전 자세에서 앞쪽으로 매트 위에서 평평한 중립 자세로 움직이게 된다. 하지만 이 단계에서의 신체는 중력과 같은 방향으로 몸을 움직이며 동작의 방향과 반대의 작용을 하는 근육이 동작을 통제하기 위해 작용한다. 한마디로 척추 신근의 경우 신장성으로 작용하는 척추의 굴곡을 통제한다. 정리하면 움직임의 단계에서 상향 단계로 갈 때 관절의 동작은 척추의 신전이 발생하고 수축의 유형을 보면 단축성, 그리고 작용하는 기능적 근육근으로는 척추신근(반극근, 후방 심부 척추 근육, 척주기립근)이다. 반대로 움직임의 단계에서 하향 단계로 갈 때 관절의 동작은 척추 굴곡이며 수축 유형은 신장성 수축, 작용하는 기능적 근육군은 위와 마찬가지로 척추신근(반극근, 후방 심부 척추 근육, 척주기립근)이다.
닫힌 운동 사슬 및 열린 운동 사슬
운동 사슬(kinetic or kinematic chain)이란 관절들에 의해 연결된 일련의 연속적인 신체 분절을 뜻한다. 닫힌 운동 사슬(closed kinetic chain)은 일부 동작에서 말단 분절(손 또는 발)이 팔굽혀펴기(push up)를 수행할 때와같이 고정되어 있으며 열린 운동 사슬(open kinetic chain)은 팔다리의 많은 동작에서 말단 분절은 팔을 앞쪽으로 올릴 때처럼 공간에서 자유로이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동작이 달라 보이지만 동작 분석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중력에 대해 대항하여 움직일 때 몸통의 팔다리가 움직이는 방향에 집중하여야 한다. 두 경우 모두 어깨 관절 굴근이 작용근이며 닫힌 운동 사슬 운동의 경우 여러 관절의 조화가 필요하다. 또한 일상생활에서의 활동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준다.
동작 시 변화하는 중력의 작용
일부 매트 운동의 경우 복잡하고 중력과의 관계가 변화하여 근육의 기능 및 움직임을 제어하거나 일으키기 위해 필요한 수축의 종류도 변화해야 한다. 다리 뻗어 몸 뒤집기(rollover with legs spread)의 예를 들어보면 고관절 굴근이 단축성으로 작용하여 다리를 위로 들어 올린다. 하지만 다리가 수직인 지점을 지나게 되면서 중력이 고관절의 신전보다는 굴곡을 좀 더 일으킨다. 이때 고관절의 신근을 이용하여 다리가 바닥 쪽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엉덩이의 각도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관절의 신근이 등척성 수축이 일어나야 한다. 이후 다리를 완전히 머리 위로 내린 자세를 취할 경우 고관절의 신근이 신장성으로 사용된다. 이때 다리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통제한다. 골반이 바닥으로 되돌아가고 다시 다리가 수직 지점을 통과한 후 동작의 끝을 향할 때는 중력이 고관절의 신전을 일으킨다. 그래서 고관절의 굴근이 신장성으로 작용하여 다리 하강의 통제하는 것을 돕는다. 따라서 동작 분점의 관점에서는 어느 근육이 작용하는지 이해하기 위하여 움직임이 각각 다른 동작에서 주요 신체 분절이 중력과의 관계를 유의해야 한다.
회전우력 및 다관절 근육과 유연성
회전우력(torque)이란 회전을 발생시키는 힘의 효과를 뜻한다. 회전우력은 힘의 크기와 힘이 작용하는 선에서 회전축까지의 수직 거리를 곱한 것이다. 필라테스 매트 운동을 진행할 때는 이러한 원리가 운동의 안전성과 효과성 모두에 중요하다. 허벅지 뒤 근육과 같은 근육은 2가지 이상의 관절에 걸쳐 신장하는 경우 그 신장성이 한계에 도달하는데 빠를 수 있다. 무릎관절 신전과 고관절 굴곡의 결합은 두 관절에 걸쳐 허벅지 뒤 근육의 신장이 필요하다. 허벅지 뒤 근육의 유연성이 좋지 않은 사람의 경우 다리 벌려 몸통 굴리기(rocker with open legs)와 같은 동작 시에 손의 위치를 낮게 잡거나 무릎을 약간 구부릴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동작을 통해 신체의 정렬이 과도하게 와해하지 않고 동작이 의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여야 한다.
'필라테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라테스 원레그써클(leg circle) (0) | 2024.12.28 |
---|---|
필라테스 골반 감아올리기와 가슴 들어올리기 (0) | 2024.12.27 |
팔의 주요 관절동작 및 주동근육과 이차근육 (0) | 2024.12.24 |
다리의 주요 관절동작 및 주동근육과 이차근육 (0) | 2024.12.23 |
필라테스 시작 전 동작과 관절에 대하여 알아보기 (0) | 2024.12.22 |